맞춤법
[맞춤법] 정답을 맞히다 / 정답을 맞추다
grace0719
2025. 3. 25. 09:47
반응형
반응형
왜 "정답을 맞히다"가 맞을까요?
"맞히다"는 "정답을 알아맞다"는 의미를 가지므로, "정답을 맞히다"가 올바른 표현입니다.
문법적 구조:
"맞히다" → "정답을 알아내다", "과녁 등에 정확히 맞다"
"정답을 맞히다" → 정답을 정확하게 찾아냄
예문:
퀴즈쇼에서 모든 문제를 맞혔다.
수학 문제의 답을 정확하게 맞혔다.'
왜 "정답을 맞추다"는 틀릴까요?
"맞추다"는 서로 어울리게 조정하다, 비교하다는 의미이므로, 정답을 찾는 상황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.
"정답을 맞추다" → "정답과 다른 것을 비교하여 조정한다"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.
"정답을 맞추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
"맞추다"가 맞는 경우
"맞추다"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.
두 개 이상의 것을 비교하여 일치시키다
시계를 표준 시간에 맞추다.
옷 색깔을 친구와 맞추다.
무언가 조정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다
팀워크를 잘 맞추다.
목소리 톤을 상대방과 맞추다.
비슷한 표현 정리:
정답을 맞히다 (O) / 정답을 맞추다 (X)
과녁을 맞히다 (O) / 과녁을 맞추다 (X)
옷을 맞추다 (O) / 옷을 맞히다 (X) (맞춤옷을 만들 때는 "맞추다")
정리:
"정답을 맞히다" → 올바른 표현!
"정답을 맞추다" → 틀린 표현!
2025.03.01 - [맞춤법] - [맞춤법] 맞히다 맞치다
[맞춤법] 맞히다 맞치다
왜 "맞히다"가 맞을까요? "맞히다"는 "정답을 맞다" 또는 "겨냥한 곳에 맞다"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입니다. "맞치다"라는 단어는 아예 존재하지 않습니다! "맞히다"의 뜻: 정답을 알아
grace0719.tistory.com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