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그럴 리가 없다

[맞춤법] 일단락 / 일단 낙 왜 "일단락"이 맞을까요? "일단락(一段落)"은 한 단락이 마무리됨을 뜻하는 한자어입니다. 문법적 구조: "일(一)" → "하나"를 의미 "단락(段落)" → "어떤 내용이나 과정이 끝맺음되는 부분"을 의미 "일단락" → "어떤 일이 한 구분에서 끝남" 뜻: "어떤 일이 마무리되어 한 구간이 끝남" "일이 어느 정도 정리됨" 예문: 프로젝트가 일단락되었다. 논의가 어느 정도 일단락된 것 같다. 왜 "일단 낙"은 틀릴까요? "일단 낙"은 한국어에 없는 표현입니다. "일단락"을 잘못 띄어 쓴 형태이며, "일단(우선)" + "낙(떨어짐)"처럼 의미가 이상해짐. "낙"은 "떨어짐, 즐거움" 등의 뜻이 있지만, "단락"과는 관계없는 단어입니다. "일단 낙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일단락.. 더보기
[맞춤법] 그럴 리가 없다 / 그럴리가 없다 왜 "그럴 리가 없다"가 맞을까요? "리"는 가능성이나 이치를 뜻하는 의존명사이므로, 앞 단어와 띄어 써야 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그럴" → "그러하다"의 활용형 "리" → 의존명사 (가능성, 이유, 이치) "가 없다" → 존재하지 않음을 나타냄 📌 뜻: "그럴 가능성이 없다." "그럴 이유가 없다." 📌 예문: 걔가 거짓말을 했다고? 그럴 리가 없어! 그 사람은 착해. 나쁜 일을 했을 리가 없지.  왜 "그럴리가 없다"는 틀릴까요? "리"는 의존명사이므로 앞말과 붙여 쓰면 잘못된 표기입니다. "의존명사"는 항상 띄어 써야 합니다! 🚫 "그럴리가 없다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그럴 리가 없다 (O) / 그럴리가 없다 (X) 될 리가 없다 (O) / 될리가 없다 (X) .. 더보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