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맞춤법

[맞춤법] 정답을 맞히다 / 정답을 맞추다 왜 "정답을 맞히다"가 맞을까요?"맞히다"는 "정답을 알아맞다"는 의미를 가지므로, "정답을 맞히다"가 올바른 표현입니다.  문법적 구조: "맞히다" → "정답을 알아내다", "과녁 등에 정확히 맞다""정답을 맞히다" → 정답을 정확하게 찾아냄 예문:퀴즈쇼에서 모든 문제를 맞혔다.수학 문제의 답을 정확하게 맞혔다.'  왜 "정답을 맞추다"는 틀릴까요? "맞추다"는 서로 어울리게 조정하다, 비교하다는 의미이므로, 정답을 찾는 상황에서는 적절하지 않습니다. "정답을 맞추다" → "정답과 다른 것을 비교하여 조정한다"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.  "정답을 맞추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"맞추다"가 맞는 경우"맞추다"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.두 개 이상의 것을 비교하여 일치시키다시계를 표준 .. 더보기
[맞춤법] 맞히다 맞치다 왜 "맞히다"가 맞을까요? "맞히다"는 "정답을 맞다" 또는 "겨냥한 곳에 맞다"라는 의미를 가진 동사입니다. "맞치다"라는 단어는 아예 존재하지 않습니다! "맞히다"의 뜻: 정답을 알아맞다 퀴즈 정답을 맞히다. 시험 문제를 다 맞혔다! 목표한 곳에 적중하다 과녁에 화살을 맞히다. 농구공을 골대에 맞히다. 남에게 어떤 일을 당하게 하다 (사동 표현) 아이에게 예방주사를 맞히다. 소에게 주사를 맞히다. 예문: 그는 모든 문제를 맞혔다. (정답을 찾아냄) 다트로 정중앙을 맞혔다. (과녁을 정확히 겨냥) 강아지에게 백신을 맞혔다. (사동 표현) 왜 "맞치다"는 틀릴까요? "맞치다"라는 단어는 국어에 존재하지 않음 헷갈리는 단어로 "마치다"(끝내다)가 있지만, 의미가 다름  "맞치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.. 더보기
[맞춤법] 맞추다 마추다 맞치다 왜 "맞추다"가 맞을까요? "맞추다"는 "서로 맞게 조정하다" 또는 "정답을 찾다"는 의미를 가진 동사입니다. "맞치다"라는 단어는 존재하지 않습니다! "맞추다"의 뜻: 서로 어울리도록 하다 퍼즐 조각을 맞추다. 두 사람의 의견을 맞추다. 정답을 찾다 문제의 답을 맞추다. 퀴즈를 다 맞추다. 시간이나 약속을 조정하다 시계를 정확한 시간에 맞추다. 만나는 시간을 3시에 맞추다. 예문: 친구들과 옷 색깔을 맞추기로 했다. 시험 문제를 모두 맞췄다! 시계를 정확한 시간에 맞췄다. 왜 "맞치다"는 틀릴까요? "맞치다"라는 단어는 국어에 존재하지 않음 헷갈리는 단어로 "마치다"(끝내다)가 있지만, 의미가 다름 "맞치다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맞추다 (O) / 맞치다 (X) 마치다 (.. 더보기
[맞춤법] 웬일이야? 왠일이야? 왜 "웬일이야?"가 맞을까요? "웬"은 "어찌 된"이라는 뜻을 가진 관형사이며, 뒤에 명사 "일"이 올 때 "웬일"이 됩니다. 문법적 구조: "웬" → "어찌 된"의 의미 (관형사) "일" → 어떤 사건이나 상황을 의미하는 명사 "웬일" → "어찌 된 일" (뜻밖이거나 예상하지 못한 상황) 예문: 너 오늘 여기서 만나다니! 웬일이야? 그렇게 열심히 공부하다니 웬일이래? 왜 "왠일이야?"는 틀릴까요? "왠"은 "왜 그런"이라는 뜻을 가진 부사로, 명사 "일"과 함께 쓰이지 않음. "왠일"이라는 표현은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"왠일이야?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웬일이야? (O) / 왠일이야? (X) 웬 걱정이야? (O) / 왠 걱정이야? (X) 왠지 기분이 좋다 (O) / 웬지 .. 더보기
[맞춤법] 되돌아가다 / 돼돌아가다 왜 "되돌아가다"가 맞을까요? "되돌아가다"는 "되다" + "돌아가다"가 합쳐진 단어입니다. 이때 "되다"는 활용형이 "돼"로 변하지 않으므로, "되돌아가다"가 올바른 표기입니다. 문법적 구조: "되-" → "다시"라는 의미를 나타냄"돌아가다" → 원래 있던 곳으로 다시 감 "되돌아가다" → "다시 원래 자리로 돌아가다" 예문: 실수를 했지만 다시 되돌아가서 해결했다. 우리는 처음 만났던 장소로 되돌아갔다. 왜 "돼돌아가다"는 틀릴까요? "돼-"는 "되다"의 활용형이지만, "되돌아가다"에서는 "되다"가 직접 활용된 것이 아닙니다. 따라서 "돼돌아가다"라는 형태는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입니다.  "돼돌아가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되살아나다 (O) / 돼살아나다 (X) 되찾다 .. 더보기
[맞춤법] 일단락 / 일단 낙 왜 "일단락"이 맞을까요? "일단락(一段落)"은 한 단락이 마무리됨을 뜻하는 한자어입니다. 문법적 구조: "일(一)" → "하나"를 의미 "단락(段落)" → "어떤 내용이나 과정이 끝맺음되는 부분"을 의미 "일단락" → "어떤 일이 한 구분에서 끝남" 뜻: "어떤 일이 마무리되어 한 구간이 끝남" "일이 어느 정도 정리됨" 예문: 프로젝트가 일단락되었다. 논의가 어느 정도 일단락된 것 같다. 왜 "일단 낙"은 틀릴까요? "일단 낙"은 한국어에 없는 표현입니다. "일단락"을 잘못 띄어 쓴 형태이며, "일단(우선)" + "낙(떨어짐)"처럼 의미가 이상해짐. "낙"은 "떨어짐, 즐거움" 등의 뜻이 있지만, "단락"과는 관계없는 단어입니다. "일단 낙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일단락.. 더보기
[맞춤법] 그럴 리가 없다 / 그럴리가 없다 왜 "그럴 리가 없다"가 맞을까요? "리"는 가능성이나 이치를 뜻하는 의존명사이므로, 앞 단어와 띄어 써야 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그럴" → "그러하다"의 활용형 "리" → 의존명사 (가능성, 이유, 이치) "가 없다" → 존재하지 않음을 나타냄 📌 뜻: "그럴 가능성이 없다." "그럴 이유가 없다." 📌 예문: 걔가 거짓말을 했다고? 그럴 리가 없어! 그 사람은 착해. 나쁜 일을 했을 리가 없지.  왜 "그럴리가 없다"는 틀릴까요? "리"는 의존명사이므로 앞말과 붙여 쓰면 잘못된 표기입니다. "의존명사"는 항상 띄어 써야 합니다! 🚫 "그럴리가 없다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그럴 리가 없다 (O) / 그럴리가 없다 (X) 될 리가 없다 (O) / 될리가 없다 (X) .. 더보기
[맞춤법] 됐잖아 됬잖아 왜 "됐잖아"가 맞을까요? "됐잖아"는 동사 "되다"의 활용형입니다. "되다"는 'ㅣ' 불규칙 활용 동사이므로, 활용할 때 "됬"이 아니라 "됐"이 되어야 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되다" → 기본형 "되 + 었" → "됬"이 아니라 "됐"으로 변형 "됐잖아" → "되었잖아"의 준말  📌 예문:걱정하지 마! 이미 됐잖아! 내가 말한 대로 됐잖아! 왜 "됬잖아"는 틀릴까?  "되다"는 'ㅣ' 불규칙 동사라서 "됬"이라는 형태는 존재하지 않음. "되었다" → "됐다"로 변하는 게 맞는 활용법.  "됬잖아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됐어 (O) / 됬어 (X) 됐나요? (O) / 됬나요? (X) 됐겠지 (O) / 됬겠지 (X)  정리 :✅ "됐잖아" → 올바른 표현! ❌ "됬잖아" .. 더보기
[맞춤법] 어쩔 수 없다 / 어쩔수없다 왜 "어쩔 수 없다"가 맞을까요?"어쩔 수 없다"에서 *어쩔 수"는 명사구입니다. 따라서 "어쩔"과 "수"를 반드시 띄어 써야 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어쩌다" → "어찌하다"의 준말 "어쩔" → "어찌할"의 의미 "수" → 방법, 가능성을 의미하는 의존명사 "없다" → 부정형 📌 뜻:"다른 방법이 없다" "방법이 없어서 피할 수 없다" 📌 예문:비가 너무 많이 와서 지각할 수밖에 없었어. 어쩔 수 없었어. 그렇게 해야 한다면 어쩔 수 없지. 왜 "어쩔수없다"는 틀릴까요?"수"는 의존명사이므로 앞 단어와 띄어 써야 합니다. "어쩔수없다"처럼 붙여 쓰면 잘못된 표기입니다. "어쩔수없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어쩔 수 없다 (O) / 어쩔수없다 (X) 방법이 있을 수 없다 (.. 더보기
[맞춤법] 갈래요? 갈레요? 왜 "갈래요?"가 맞을까요?"갈래요?"는 의지나 선택을 나타내는 표현으로, 동사에 붙는 "-ㄹ래요" 형태가 맞습니다. 문법적 구조:"가다" → 기본 동사 "-ㄹ래요" → 의지를 나타내는 어미 "갈래요?" → "갈 의향이 있나요?", "갈 거예요?"의 의미 예문:영화 보러 갈래요? 저녁으로 치킨 먹을래요? 왜 "갈레요?"는 틀릴까요?"갈레요"는 한국어 문법에 없는 형태입니다. "-래요"는 동사의 어간과 결합할 때 "ㄹ" 형태로 변형되지만, "레"라는 어미는 존재하지 않습니다. 따라서 "갈래요"가 올바른 표현입니다. "갈레요?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 비슷한 표현 정리: 할래요? (O) / 할레요? (X) 먹을래요? (O) / 먹을레요? (X) 볼래요? (O) / 볼레요? (X)  정리: "갈래요?.. 더보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