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됐잖아

[맞춤법] 그럴 리가 없다 / 그럴리가 없다 왜 "그럴 리가 없다"가 맞을까요? "리"는 가능성이나 이치를 뜻하는 의존명사이므로, 앞 단어와 띄어 써야 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그럴" → "그러하다"의 활용형 "리" → 의존명사 (가능성, 이유, 이치) "가 없다" → 존재하지 않음을 나타냄 📌 뜻: "그럴 가능성이 없다." "그럴 이유가 없다." 📌 예문: 걔가 거짓말을 했다고? 그럴 리가 없어! 그 사람은 착해. 나쁜 일을 했을 리가 없지.  왜 "그럴리가 없다"는 틀릴까요? "리"는 의존명사이므로 앞말과 붙여 쓰면 잘못된 표기입니다. "의존명사"는 항상 띄어 써야 합니다! 🚫 "그럴리가 없다" (X) →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그럴 리가 없다 (O) / 그럴리가 없다 (X) 될 리가 없다 (O) / 될리가 없다 (X) .. 더보기
[맞춤법] 됐잖아 됬잖아 왜 "됐잖아"가 맞을까요? "됐잖아"는 동사 "되다"의 활용형입니다. "되다"는 'ㅣ' 불규칙 활용 동사이므로, 활용할 때 "됬"이 아니라 "됐"이 되어야 합니다. 문법적 구조: "되다" → 기본형 "되 + 었" → "됬"이 아니라 "됐"으로 변형 "됐잖아" → "되었잖아"의 준말  📌 예문:걱정하지 마! 이미 됐잖아! 내가 말한 대로 됐잖아! 왜 "됬잖아"는 틀릴까?  "되다"는 'ㅣ' 불규칙 동사라서 "됬"이라는 형태는 존재하지 않음. "되었다" → "됐다"로 변하는 게 맞는 활용법.  "됬잖아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 표현 정리: 됐어 (O) / 됬어 (X) 됐나요? (O) / 됬나요? (X) 됐겠지 (O) / 됬겠지 (X)  정리 :✅ "됐잖아" → 올바른 표현! ❌ "됬잖아" .. 더보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