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단락 썸네일형 리스트형 [맞춤법] 되돌아가다 / 돼돌아가다 왜 "되돌아가다"가 맞을까요? "되돌아가다"는 "되다" + "돌아가다"가 합쳐진 단어입니다. 이때 "되다"는 활용형이 "돼"로 변하지 않으므로, "되돌아가다"가 올바른 표기입니다. 문법적 구조: "되-" → "다시"라는 의미를 나타냄"돌아가다" →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감 "되돌아가다" → "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가다" 예문: 실수를 했지만 다시 되돌아가서 해결했다. 우리는 처음 만났던 장소로 되돌아갔다. 왜 "돼돌아가다"는 틀릴까요? "돼-"는 "되다"의 활용형이지만, "되돌아가다"에서는 "되다"가 직접 활용된 것이 아닙니다. 따라서 "돼돌아가다"라는 형태는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입니다. "돼돌아가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 표현 정리: 되살아나다 (O) / 돼살아나다 (X) 되찾다 .. 더보기 [맞춤법] 일단락 / 일단 낙 왜 "일단락"이 맞을까요? "일단락(一段落)"은 한 단락이 마무리됨을 뜻하는 한자어입니다. 문법적 구조: "일(一)" → "하나"를 의미 "단락(段落)" → "어떤 내용이나 과정이 끝맺음되는 부분"을 의미 "일단락" → "어떤 일이 한 구분에서 끝남" 뜻: "어떤 일이 마무리되어 한 구간이 끝남" "일이 어느 정도 정리됨" 예문: 프로젝트가 일단락되었다. 논의가 어느 정도 일단락된 것 같다. 왜 "일단 낙"은 틀릴까요? "일단 낙"은 한국어에 없는 표현입니다. "일단락"을 잘못 띄어 쓴 형태이며, "일단(우선)" + "낙(떨어짐)"처럼 의미가 이상해짐. "낙"은 "떨어짐, 즐거움" 등의 뜻이 있지만, "단락"과는 관계없는 단어입니다. "일단 낙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비슷한 표현 정리: 일단락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