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맞춤법

[맞춤법] 되돌아가다 / 돼돌아가다

반응형

반응형

왜 "되돌아가다"가 맞을까요?

"되돌아가다"는 "되다" + "돌아가다"가 합쳐진 단어입니다.
이때 "되다"는 활용형이 "돼"로 변하지 않으므로, "되돌아가다"가 올바른 표기입니다.

문법적 구조:

"되-" → "다시"라는 의미를 나타냄
"돌아가다" → 원래 있던 곳으로 다시 감
"되돌아가다" → "다시 원래 자리로 돌아가다"

예문:

실수를 했지만 다시 되돌아가서 해결했다.
우리는 처음 만났던 장소로 되돌아갔다.

왜 "돼돌아가다"는 틀릴까요?

"돼-"는 "되다"의 활용형이지만, "되돌아가다"에서는 "되다"가 직접 활용된 것이 아닙니다.
따라서 "돼돌아가다"라는 형태는 문법적으로 틀린 표현입니다.

 

"돼돌아가다" (X) →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

비슷한 표현 정리:

되살아나다 (O) / 돼살아나다 (X)
되찾다 (O) / 돼찾다 (X)
되돌리다 (O) / 돼돌리다 (X)

 

정리:

"되돌아가다" → 올바른 표현!
"돼돌아가다" → 틀린 표현!'

 

2025.02.13 - [맞춤법] - [맞춤법] 일단락 / 일단 낙

 

[맞춤법] 일단락 / 일단 낙

왜 "일단락"이 맞을까요? "일단락(一段落)"은 한 단락이 마무리됨을 뜻하는 한자어입니다. 문법적 구조: "일(一)" → "하나"를 의미 "단락(段落)" → "어떤 내용이나 과정이 끝맺음되는 

grace0719.tistory.com

 

반응형